1. 소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1994년부터 주변 해역에서 평상시 방사능 자료를 확보하여 방사선사고 발생 시 빠른 대응을 위한 목적으로 해양 환경 방사능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3.08.23 - [기타 사회] - 일본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문제와 국제적 영향(각국 삼중수소 배출량)
2. 조사 활동 내용
2005년부터는 해양 전반에 걸친 방사능 감시를 위해 동·서·남해의 수심별 해수, 해양 생물(어류, 패류, 해조류) 및 해저 퇴적물을 포함한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 지점과 주기를 확대하였으며, 2013년 일본 오염수 해양 유출 사건을 계기로 울릉도 부근 및 제주도 남방 해역 등 조사 지점을 확장하여 현재 34개 지점에서 방사능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오염수 해양 방출 대비로 제주 남방 해역과 울릉도 부근의 삼중수소 감시 주기를 연 4회로 확대하였으며, 2022년부터는 모든 정점에서 연 4회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 https://nsic.nssc.go.kr/dta/oceanView.do
국가환경방사능자료관리시스템 https://clean.kins.re.kr/Index.do
3. 활용 가능성
해양환경 방사능 조사 자료는 국내외 원자력시설 이외에도 발생 가능한 방사선사고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안전을 유지하고 방사능 관련 위험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4. 조사계획
1994년부터 연근해 해양환경 조사 지점을 선정하고, 수심별 해수 및 다양한 생물 시료를 확보하여 방사능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2005년부터는 해양환경 전반에 대한 방사능 조사를 위해 다양한 시료를 확보하고 국립수산과학원에 조사를 위탁하여 환경방사능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일본 원전 사고 이후에는 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동중국해 해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내 전해역까지 조사지역을 확장하였으며, 조사 주기를 조정하여 방사성 세슘의 조사 주기를 확대하였습니다.
5. 조사결과
우리나라 주변 해역 34개 정점의 2022년도 표층해수의 3H 방사능농도 범위는 0.0779∼0.451 Bq/L(연평균 0.193±0.070 Bq/L)로서, 과거 5년간(2017년∼2021년) 조사한 농도범위인 <0.0577∼0.430 Bq/L(평균 0.158±0.058 Bq/L)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2006년∼2010년) 농도범위인 <0.0376~0.743 Bq/L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6. 삼중수소 총량 및 농도
7. 100만 톤은 어느 정도의 양인가
물의 밀도는 1이므로 가로, 세로, 높이가 100m인 부분을 100만 톤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3.08.30 - [잡다구리구리] - 방사능의 단위 베크렐 및 그레이, 시버트 단위에 대해
2023.08.30 - [잡다구리구리] -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의 차이및 위험성
2023.08.29 - [잡다구리구리] - 방사선의 성질과 종류 및 방사선,방사성,방사능 구분
'잡다구리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컴퓨터의 핵심 폰 노이만 구조(feat.병목현상) (0) | 2023.09.02 |
---|---|
후쿠시마 오염수 과연 안전한가? (자연방사선과의 수치 비교) (0) | 2023.08.31 |
방사능의 단위 베크렐 및 그레이, 시버트 단위에 대해 (0) | 2023.08.30 |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의 차이및 위험성 (0) | 2023.08.30 |
방사선의 성질과 종류 및 방사선,방사성,방사능 구분 (0) | 2023.08.29 |